바로가기 서비스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보고, 국립공원 - 멸종위기종에 대한 조사연구 및 복원과 다양한 탐방프로그램, 홍보활동을 통한 국민공감대 형성


Home  야생생물보전원  보전원소식  ECO 뉴스

ECO 뉴스

  • 새창열림 - 페이스북에 공유
  • 새창열림 - 트위터에 공유
  • 인쇄하기
공원명, 등록일, 작성자,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하는 view 테이블입니다.
지리산 반달곰 개체관리에 유전자 분석법 도입
등록일 2013.09.12 조회수 4,437

지리산 반달곰 개체관리에 유전자 분석법 도입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은 지리산 반달가슴곰 개체관리에 유전자 분석 방법을 도입해 기존 발신기 추적 관리와 병행하기로 했습니다.


새롭게 시행되는 개체관리법은 무인카메라와 털을 수집하는 장치인 헤어트랩 등을 이용해 수집한 모근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개체를 식별하고 이동경로를 파악하는 간접관리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리산 반달가슴곰의 서식영역이 크게 확대되고, 자연에서 태어나 야생적응력이 뛰어난 곰들은 추적과 포획이 어려워짐에 따라 관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됩니다. 

지금까지는 방사곰에 발신기를 부착하고 위치추적을 통해 생태정보를 수집해 관련 연구에
 활용하거나 밀렵이나 주민피해 예방에 활용해 왔습니다.  위치추적 관리를 위해서는 발신기를 부착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곰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사람과의 접촉으로 자연적응에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특히, 갓 태어난 새끼곰의 경우 발신기를 부착하지 못하고 7~8개월 정도 성장한 시기에 부착해야 하는데, 이 시기는 어미곰과 함께 활동하고 있어 새끼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할 뿐만 아니라 위기대응에 대한 학습으로 추적과 포획이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또한, 어미곰이 새끼곰에 부착된 발신기를 물어뜯어 훼손하는 경우도 있어 새끼곰 관리에 어려움을 겪어 왔습니다.  

이에 따라 종복원자문위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직접 포획하는 발신기 관리방법과 병행해서 유전자 분석 관리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 이를 위해 반달가슴곰 주요 활동 지역을 중심으로 무인카메라와 헤어트랩을 확대 설치하고, 
유전자분석을 위한 전문가를 영입했습니다.

○ 털이나 분변, 혈액 등 유전자 분석을 통한 야생동물 연구는 국외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연구방법으로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5월 유전자 분석시스템을 구축해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현재는 반달가슴곰 주요 활동 지역을 중심으로 무인카메라 77개소, 생포트랩 68개소, 
헤어트랩 22개소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 생포트랩 : 드럼통에 먹이를 넣어놔 들어가면 갇히게 만든 장치
   ※ 헤어트랩 : 곰의 키에 맞춰 설치한 철조망으로 지나가다 털이 걸려 수집되면 회수해 유전자 분석에 활용
 


 

 

이전글과 다음글을 제공하는 테이블입니다.
이전글 이전글 보기 화살표소백산에 여우 6마리 방사
다음글 다음글 보기 화살표구조된 산양, 새끼 6마리 출산

목록보기 버튼

평가하기
  •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